재무제표를 봐야 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려고는 하지만, 사실 주식투자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보기 쉽지 않은 것이 재무제표입니다.
경제학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주식투자를 하며 스스로 배워간 것을 정리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 표는 "디와이파워" 라는 회사의 재무제표입니다.
이 재무제표가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자산/부채/자본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자산/부채/자본에 대해서만 이해할 수 있다면 나머지를 이해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 저의 티스토리 블로그가 하나의 기업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제 블로그는 한 달에 약 5만원 정도의 수익, 즉 1년에 60만 원 정도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저는 이 사업이 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회사의 자본금을 100만원으로 설정하고 10,000원짜리 주식 100장을 발행했습니다. (100만원 = 10,000원*100장)
그럼 여기서 100만원이 제 자본금이 되고, 10,000원은 액면가가 되며, 100장은 주식의 총 수가 됩니다.
회사의 자본금 100만원은 모두 제 돈으로 충당했기 때문에 대표이사 지분율 100%의 'LRHR(Low Risk High Return)'이라는 이름의 회사가 설립되었습니다.
구 분 | 제10기 1분기 |
(2023.03.31) | |
자 산 총 계 | 100 |
부 채 총 계 | 0 |
ㆍ자본금 | 100 |
자 본 총 계 | 100 |
하지만 회사 설립 후에 돈이 부족해졌습니다. 이럴 경우에 제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빚을 낸다 : 나중에 돈으로 갚는다.
2. 투자를 받는다 : 내 지분가치를 희석시키면서 회사에 돈을 가져온다.
투자를 받아 제 지분가치를 희석시키기 싫었기 때문에 나는 ("LRHR"이라는 회사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선택을 했습니다. 지금은 제가 100%의 지분을 가진 내 회사기 때문에 혼자 선택을 하지만, 지분구조가 복잡해지면 이런 선택들을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의 동의를 받아 진행하게 됩니다.
어쨌거나 빚을 내게 되면 기존의 재무제표에서 부채가 늘어나게 되고 (0 → 30만원), 아래와 같은 재무제표가 만들어집니다.
구 분 | 제10기 1분기 |
(2023.03.31) | |
자 산 총 계 | 130 |
부 채 총 계 | 30 |
ㆍ자본금 | 100 |
자 본 총 계 | 100 |
이 쯤 되면 눈치가 빠르신 분들은 "자산 = 자본 + 부채"라는 것을 눈치채셨을 것입니.
그렇다면 이 정보를 투자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부분은 부채비율, 즉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눈 것입니다.
"LRHR" 재무제표에서의 부채비율은 30/100 = 30% 입니다.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안 좋은 점을 3가지 정도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이자 부담 증가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이자 비용이 증가합니다. 특히나 지금과 같은 고금리 시대에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는 이자 부담에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회사의 이익을 축소시키고 현금 흐름을 제한하게 됩니다.
2. 신뢰도 감소
부채비율이 높으면 신뢰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외부 투자자, 신용 기관 및 협력업체는 부채비율을 평가하여 회사의 신뢰도와 재무 건강 상태를 판단합니다. 높은 부채비율은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성장 제약
높은 부채비율은 새로운 투자, 확장 또는 기업 인수 및 합병과 같은 성장 기회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기업을 인수하는 경우에 부채도 함께 인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수 및 합병에서 부채가 많다는 것은 불리한 위치가 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우선 오늘은 자산/자본/부채에 대해 간단한 소개와 투자에 어떻게 참고하면 좋을지 알아보았습니다.
자산의 종류인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주세요!
https://lowriskhighreturnstock.tistory.com/33
주식 기본주식 초보를 위한 이야기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저번 글에서 자본과 부채, 그리고 자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어서 조금 더 자세히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지난 글을 안보고 오신 분들은 보고 오시기를 추천 드
lowriskhighreturnstock.tistory.com
'주식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 : 주식 초보를 위한 이야기 ② (0) | 2023.06.22 |
---|---|
주식 초보를 위한 이야기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0) | 2023.06.06 |
자산관리 포트폴리오 구성: 효과적인 자산배분 전략 (0) | 2023.06.02 |
가치투자: 주식 시장에서 명품을 찾아가는 전략 (0) | 2023.06.02 |
주식분할, 호재일까 악재일까?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