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Insight

[쏘카] 쏘카주가 쏘카전망 쏘카주가전망 쏘카분석

돈버는투자자 2023. 7. 27. 08:57
반응형

쏘카주가 쏘카전망 쏘카주가전망 쏘카분석

 

    기업 개요

1) 종목명 : 쏘카
2) 관련 테마 : 렌터카, 모빌리티
3) 액면가 : 100원
4) 시가총액 : 4,351억 원
5) 유통주식수 : 20,489천주 (62.49%)
6) 대주주 지분율 : 35.38% (에스오큐알아이 외 17인)
7) 외국인 보유비중 : 0.08%

 

쏘카 및 종속회사의 서비스는 카셰어링, 플랫폼 주차서비스, 마이크로 모빌리티, 기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업 부문별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3.03.22 22년 사업보고서 기준)

1. 카셰어링 : 매출비중 96.0%

언제 어디서나 10분 단위로 원하는 만큼 원하는 차량을 대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쏘카의 주력 서비스입니다.

 

2. 플랫폼주차 서비스 : 매출비중 1.2%

㈜모두컴퍼니에서 제공하는 '모두의주차장'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모두의주차장은 지난 2013년부터 주차장 정보 안내, 주차제휴, 스마트파킹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최고의 주차 공유 플랫폼입니다.

 

3. 마이크로 모빌리티 : 매출비중 2.8%

㈜나인투원에서 제공하는 일레클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일레클은 이용 건당 평균 10분, 2.5㎞를 이동하며 도심 속 등하교(원), 출퇴근 등 일상 이동의 시작과 끝을 책임지고 있는 국내 최고의 공유 전기자전거 서비스입니다.

 

4. 기타 : 0.0%

국내 최대 카셰어링 차량 관제 노하우를 Software-as-a-Service(SaaS) 형태로 전환하여 물류, 배달 등 플릿(Fleet)을 운영하는 B2B 고객들에게 솔루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23년 정식 상용화 예정입니다.

 

 

    재무 분석

매출액은2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영업이익은 21년 95억 흑자로 턴어라운드 했으나, 순이익은 -181억으로 적자전환 했습니다. 22년 기준 영업수익은 카셰어링 플랫폼 경쟁력 기반 매출 다각화 및 서비스 강화를 통한 매출 증가로 인하여 전기대비 37.6% 상승한 3,976억원을 달성하였으며, AI기반 사업운영으로 전부문의 운영 효율화 및 비용 최적화를 통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보입니다. 순이익 적자전환 사유는 직전사업연도 중 종속기업 지배력 상실로 인한 손익 발생입니다.

 

 

    이슈 분석

22. 08. 22. 쏘카, 상장 첫날 약보합... 공모가 하회

: 적자 지속 및 모빌리티 플랫폼 경쟁률 심화, 시장 점유율 감소 및 수익성 하락 리스크 있음

 

22. 08. 23. 쏘카/대성하이텍, 상장 이틀차 상승세

: 쏘카, 국내외 모빌리티 플랫폼 중 연간 영업이익 흑자전환이 가시화된 유일한 기업

: 일레클과 모두의 주차장 성장과 더불어 FMS 서비스 확장으로 매출원 다각화 기대됨

 

22. 09. 19. 수익/성장성 우려 못 떨쳐낸 쏘카, 장 초반 2만원 붕괴

: 성장성과 수익성에 대한 우려 섞인 시선으로 신저가

: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 대비 고평가된 측면이 있으며, 시장 역시 국내 렌터카 업체와 차별성을 크게 느끼지 못함

 

22. 09. 30. 쏘카, '타다 불법 아니다' 항소심 판결에 강세

: 쏘카에서 빌린 렌터카를 운전자에게 다시 고객에게 빌려주는 방식의 '타다' 서비스가 불법이 아니라는 재판부 판결로 향후 사업 재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

 

22. 11. 11. 쏘카, 3Q 실적 호조에 연간 '흑자' 달성 기대감에 강세

: 올해 4분기 흑자 달성이 예상돼 2011년 창사 이후 처음으로 연간 기준 흑자 달성이 확실

: 쏘카의 카셰어링 시장 점유율은 77.8%로 지난말 73.6% 대비 4%포인트 이상 상승

 

22. 12. 22. 쏘카, 흑자달성과 신규사업 확대 기대감에 6%대 '강세'

: 2023년은 수익성을 다지는 시기, 글로벌 카셰어링 기업 중 유일하게 흑자 달성과 신규사업 확대 가능성 고려할 때 현재 주가는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

 

22. 02. 22 쏘카, 대규모 보호예수 해제에 하락

: 1,411만 3,988주 보호예수 해제에 하락

 

상장한지 1년이 채 안 된 기업이지만 정말 많은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기사들을 종합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매수의견 : 카셰어링 기업 중 유일한 흑자 기업, 신규사업 확대 가능성 고려 시 저평가 구간임.

매도의견 :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 대비 고평가된 측면이 있으며, 국내 렌터카 업체와 차별성을 크게 느끼지 못함.

 

 

    주가 전망

강점

1. 카셰어링 기업 중 유일한 흑자 기업

2. 신규사업 확대 가능성 (플랫폼 주차, 일레클, FMS)

3. 시장 점유율 상승 중

 

약점

1.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 대비 고평가

2. 국내 렌터카 업체와 차별성 없음

 

종합해보면 쏘카가 2022.9.19 당시 고평가 기사가 나오던 시점의 주가가 20,000원이었고, 현재 주가가 12,220원임을 고려할 때 고평가 이슈는 해소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국내 렌터가 업체와의 차별성은 높은 점유율과 신규 사업 (플랫폼 주차, 일레클, FMS 등)에서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주가가 매수하기에 매력적인 지점이라고 생각하며, 쏘카의 카셰어링 점유율과 신규 사업의 매출 발생 지점을 유심히 관찰하면서 투자하면 좋은 투자처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반응형